24365기도

  • 홈 >
  • 훈련/선교/기도 >
  • 24365기도

매일 전 세계를 위하여 하루 1시간씩 한 나라를 위하여 기도합니다.

효성동교회는 24365기도 172팀입니다.

24365기도
171230-스웨덴 운영자 2017-12-29
  • 추천 0
  • 댓글 0
  • 조회 376

http://hyosungch.onmam.com/bbs/bbsView/46/5360791

123024365기도는 유럽의 스웨덴입니다.

 

지리

면적 449,964.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가장 큰 나라로, 산지와 삼림이 많고 경작지는 국토의 10%뿐이다.

 

인구

20109,293,026

20209,713,109

 

수도 스톡홀름 1,285,387

기타 주요 도시 예테보리 854,000, 말뫼 250,000.

도시화 84.7%

15세 이하 인구 17%

평균수명 80.8

 

종족

유럽인 94.7%. 스칸디나비아인 87.5%. 스웨덴인 86.5%, 노르웨이인, 덴마크인 등. 피노-우그리아어족 3.1%. 핀란드인 1.9%, 사아미족(6) 1.0%. 슬라브족 2.6%. 세르비아인 0.6%, 폴란드인 0.5%, 보스니아인 0.5%. 기타 5.3%. 거의 200개에 달하는 국적을 지닌 다양한 이민자 집합체. 아랍인(6) 1.8%. 이라크계 아랍인 1.0%. 기타 아시아인(44) 2.4%. 이란인 0.6%, 터키인 0.4%. 기타 민족 1.1%. 칠레인 0.3%, 소말리아인 0.2%.

문자해독률 99.0%

공용어 스웨덴어. 5개의 소수 공식어가 있다.

전체 언어 30

토착어 12

성경이 번역된 언어 전 4, 2, 5, 4.

 

경제

주로 수출 중심의 산업과 정보기술에 집중된, 고도로 발달한 혼합경제다. 광범위한 사회보장 제도는 높은 세금을 요구하나, 세계에서 최고 수준의 삶을 제공한다.

인간개발지수 182개국 중 7

공채 GDP36.7%

1인당 소득 52,181달러(미국의 110%)

 

정치

입헌군주제 의회정부다. 거의 200년간 중립 정책을 폈고, 지난 70년간 지속된 사회 민주주의는 스웨덴 사회를 복지 국가로 형성시켰다. EU 회원국이지만, NATO와 유로존(Eurozone) 가입을 거절했다.

 

종교

완전한 종교의 자유가 있다. 2000년까지 스웨덴 교회 (루터교)가 국교였다. 점점 많은 신자가 탈퇴하고 있지 만 아직도 역사적으로나 규모로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고 있다. 스웨덴은 점점 세속화되고 있으며, 대중적 인 영역에서는 서서히 종교적인 관점이 몰리고 있다.

기독교 57.20%

무종교 38.35%

이슬람교 3.61%

불교 0.31%

기타 0.22%

유대교 0.17%

 

기도응답

1. 국가에서 지원하는 국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을 감안할 때 복음주의자가 더욱 연합하게 된 것은 칭찬할 만한 일이며 성령께서 역사하시는 징표라 할 수 있다. 복음주의 단체는 스스로 세속 사회에서 소수 집단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신학과 종파를 넘어 함께 사역하고 기도하며 예배하는 일을 확대하고 있다. 해마다 오순절교에서는 전국에서 2만명 가량이 "예수님의 현현"을 기리기 위해 스톡홀름으로 모여든다.

 

기도제목

1. 스웨덴은 기독교의 역사가 풍부하다. 그뿐만 아니라 부흥(특히 19세기에 있었던)의 유산과 활발한 자유교회 운동, 선교에 크게 헌신했다. 과거 스웨덴 왕이던 구스타브 아돌프는 스웨덴을 루터교 국가로 수립하였고 갓 출범한 개신교 운동을 보호하기 위해 유럽에서 분투하였다. 그러나 20세기와 21세기는 세속화의 진전과 도덕성의 타락으로 특징 지울 수 있다. 국가적인 영적 각성이 일어나며 스웨덴이 다시 복음화되도록 기도하자.

 

2. 스웨덴 교회는 더 이상 국교회가 아니다. 규모나 정치·사회적 영향력 측면에서 보면 아직까지 크다고 할 수 있지만 점점 약해지는 추세다. 자유주의 신학과 실천이 교회를 지배하면서, 동성애자 결혼을 지지하는 분위기부터 보편구원론이 등장하고 성경의 신적 권위를 거부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정치인(종종 예수님에 대한 분명한 믿음이 없는)들이 선출되어 교구 위원회에 속하는 경우도 흔하다. 기독교가 수적으로 감소하고 교인의 1-2%만 교회에 출석하는 상황도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지역적으로는 복음주의 교회와 목회자, 교인이 많은 편이지만, 국가적으로는 자유로운 의제가 지배적이다. 하나님이 이 나라의 기독교를 흔들고 단련하시도록 기도하자. 떼제(Taizé), 오아시스(Oasis), 순례의 길(Pilgrimage) 같은 운동은 루터교에 긍정적이며 고무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3. 스웨덴의 영적 쇠퇴가 많은 부분에서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인격적인 하나님을 믿는 사람은 23%뿐이다. 거의 모든 종교 단체가 교인과 출석자 수가 줄어드는 것을 경험하고 있다. 활발하던 기독 청년과 스웨덴 파송 선교단체가 지난 30년간 대폭 감소했다. 사회, 특히 젊은 세대가 속한 사회는 사실상 매우 세속화되어서, 복음을 논의하려면 먼저 복음을 전하기 전 단계에 엄청난 공을 들여야만 한다. 이들이 소중히 여기는 가치는 물질주의, 쾌락주의, 개인주의이며, 절대적 가치나 진리를 고수하는 것은 편협한 태도라고 여긴다. 영적으로 투쟁하고 있는 이 나라가 새롭게 각성하기를 기도하자. 최근에는 청년들이 더 전통적인 가치를 향해 움직이는 조짐이 보인다.

 

4. 세속적인 포스트모던 세계관이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반대나 거부감 없이 성경적인 신앙을 공적 영역이나 학문적 영역에서 표현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렇듯 잃어버린 입지를 되찾으려면 올바른 기독교 변증과 예리한 기독교적 사고가 필요하다. 감사하게도 최근 많은 과학자와 교수가 스스로 기독교인임을 표명했다. 하나님이 사상계에 전통적인 성경적 세계관의 정통성과 우수성을 확립할 수 있는 훌륭한 기독 설교자와 사상가를 세우시도록 기도하자.

 

5. 복음주의자 사이에 긍정적인 징조가 보인다. 이들이 성장하도록 기도하자.

 

1) 복음주의자가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교회 조직에 속하지 않은 상당수의 복음주의 단체뿐 아니라, 루터파(예를 들면, 스웨덴 복음주의 선교회[Swedish Evangelical Mission]), 저교회파(자유교회), 은사주의 운동(오순절주의 운동) 등에서 복음주의자가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표현의 다양성과 복음주의 집단간의 매우 실질적인 연합은 스웨덴에 복음주의가 아직 살아 있으며 활발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2) 사회 참여. 모든 종파에서 사회 참여가 많아지고 있다. 교회 간 연합이 증대되고, 종파들은 전략적인 교회 개척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있다. 교회는 알코올 중독, 성적 학대, 실업과 같은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구제 사역에 점점 깊이 참여하고 있다. 스웨덴 복음주의 연맹(Swedish Evangelical Alliance)은 성경적 신앙에 대해 분명한 견해와 공적인 소리를 내는 단체로 한창 성장하고 있다.

 

3) IFES와 연계된 학생 사역인 CREDO는 혁신적인 전도 활동을 통해 성장하고 있으며, 80개 대학 캠퍼스와 50개 중등학교에서 모이고 있다. 해마다 1,000명 이상이 캠프와 수양회에 참가한다. 2002년 뉴 제너레이션(New Generation)이 창설되면서 혁신적인 사역을 통해 중등학교에 500개 소모임을 둘 정도로 성장해왔다.

 

4) 알파코스 운동이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해마다 500개가 넘는 교육 과정이 운영된다. 더 세속화되고 더 젊은 세대에게 맞춘 다른 유사 교육 과정도 매우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6. 신학 훈련이 가장 큰 기도 제목이다. 20개 주립대학과 전문대에서 신학과 종교학을 가르친다. 많은 목회자가 그곳에서 훈련을 받지만 이들은 대학에 만연한 인본주의와 자유주의에도 영향을 받는다. 현재는 좀 더 성경적인 신앙으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이 있다. 요한넬룬트 신학교(Johannelund Seminary)는 스웨덴 복음주의 선교회(Swedish Evangelical Mission)와 관계가 있으며, 많은 졸업생이 루터교 목사가 되고 있다. 인터랙트(InterAct), 스웨덴 선교 언약 교회(Swedish Mission Covenant Church)/침례교 연합(Baptist Union)/감리교(Methodist Church), 생명의 말씀(Word of Life), 오순절교, 스웨덴 연맹(Swedish Alliance)등이 운영하는 신학교와 성경학교도 있다. 또한 종파들이 대부분 많은 성경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밖에도 1년 과정의 독립 성경학교가 있다. YWAM은 스웨덴에 있는 5개 본부에서 청년을 훈련하고 있으며, OM 역시 청년들에게 복음 전도와 선교 활동에 대해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스웨덴은 말씀 안에서 잘 훈련되고 문화적으로 깨어 있으며 스웨덴 사회와 주류 교단에 팽배한 사고방식과 타협하지 않는 목회자와 교사, 지도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7. 스웨덴 출신 선교사의 전도 활동은 전통적으로 활발하였으나 최근 몇 년간 여러 선교단체에서 선교사 수가 현격히 줄었다. 스웨덴 선교 협의회(Swedish Mission Council)는 선교를 도모하고 협력하는 36개 조직을 섬기고 있다. 많은 선교단체와 국교회(생명의 세계 교회[World of Life]와 동방의 빛 교회[Light in the East] 포함)에서는 복음을 접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사역할 수 있는 선교사를 훈련하고 있다. 스톡홀름에 있는 성경 번역 연구소(Institute of Bible Translation)는 러시아와 구소련 지역에서 사용하는 모든 비슬라브어로 성경을 출간하려는 비전을 품고 있다. 이들의 전략적인 사역을 위해 기도하자. 또한 새로운 선교비전의 흐름과 스웨덴과 스칸디나비아에서 배출될 선교사를 위해 기도하자.

 

8. 스웨덴의 사역 과제.

 

1) 청소년. 가장 어린 이 세대는 정확히 탈기독교인(post-Christian)으로 묘사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세상에 물들어 있으며 성경적인 진리를 깨닫지 못하고 있다. 노령 인구와 전체적인 영적 침체로 주된 청소년 사역이 줄고 있으나, 새로운 영적 호기심이 일기 시작하고 있다. 문화적으로 적실한 청소년 중심 사역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2) 북부 라플란드의 사아미족(2-25,000명 정도가 스웨덴에 있다)4개 언어를 사용하며, 일부는 전통 문화를 고수한다. 대부분 명목상 루터교인이다. 선교 언약 교회, ECM, 루터교 등이 이들 안에서 사역의 열매를 맺고 있다. 사아미어로 성경과 기독 자료를 번역하고 출간하는 과정은 속도가 느리고 비용도 많이 든다. 2개 사아미 언어로 신약성경을 완성케 하신 하나님을 찬양하자. 진정한 사아미족 교회가 세워지도록 기도하자.

 

3) 이전 공산주의 국가에서 이주해 온 유럽 이민자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들이 들어오면서 정교회는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기독교 종파가 되었다. 심령이 가난한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폴란드인, 러시아인 등을 위해 진정한 복음 증거와 기독교 사역이 이뤄지도록 기도하자.

 

4) 1960년에는 소수이던 무슬림이 2010년에는 33만 명가량으로 늘었다. 주로 이라크, 이란, 터키, 보스니아, 소말리아 출신이다.

 

i 통합이 큰 문제다. 대부분 스웨덴어를 전혀 배우지 못하거나 성공적으로 일자리를 얻지 못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무슬림은 사회 최하층이 될 가능성이 있다. 스톡홀름과 말뫼에 형성된 일부 무슬림 지역사회는 의도적으로 통합을 거부하는데, 이는 통합을 원하는 자들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ii 명목주의와 세속주의. 이것은 기독교인은 물론 무슬림에게도 과제가 되고 있다. 많은 젊은 세대가 조상들의 신앙에서 벗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자유주의에 대한 유럽의 반응은 근본주의 신앙에 맞서는 위험한 반동 행위로 여겨질 수도 있다.

 

iii 사역자가 거의 없다. 복음화되지 못한 이 거대한 공동체를 겨냥해서 집중적으로 사역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이 도전적인 일을 더 많이 인식하고, 더 많은 사역자와 자원이 채워지도록 기도하자.

 

5) 거의 35개국에서 모여든 동남아시아인은 집단에 따라 6명에서 많게는 15,000명에 달하는 집단을 이루고 있다. 규모가 작은 집단을 발견해내고 전도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COCM은 스웨덴에 있는 중국인에게 사역하고 있으며 최소 6개의 교회를 갖고 있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171231-스위스 운영자 2017.12.30 0 349
다음글 171229-스리랑카2 운영자 2017.12.29 0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