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전 세계를 위하여 하루 1시간씩 한 나라를 위하여 기도합니다.
효성동교회는 24365기도 172팀입니다.
250918-코소보(Kosovo) | 조성환 | 2025-09-14 | |||
|
|||||
“코소보의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리라!(에스더 9:22)”
》 기본정보 대륙|유럽 》 나라개요 코소보는 중세 시대에 세르비아 제국의 중심지로, 많은 종교 유적지가 위치한 지역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코소보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에서 세르비아의 자치주가 되었고, 1980년대에는 알바니아인들의 민족주의가 증가하면서 폭동이 일어나 코소보의 독립을 요구했다. 1989년 세르비아는 코소보의 독립적 지위를 박탈하는 헌법을 제정하고, 1991년 알바니아인 지도자들이 독립을 선언하며 저항군을 결성했다. 1998년, 알바니아 분리주의 반군이 세르비아 경찰을 공격하면서 코소보사태가 시작되었고, 세르비아는 대규모 소탕 작전과 인종청소를 펼쳤다. 1999년 NATO의 개입으로 세르비아군이 철수하면서 1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90만 명이 난민이 되었다. 2008년 코소보는 독립을 선언했고, 100여 개국이 이를 인정했으나 일부 국가들은 인정하지 않았다. 세르비아는 코소보의 독립을 거부하고 있지만, 2013년 EU 주도의 회담을 통해 관계 정상화를 논의하고 있다. 코소보는 국제사회에서의 완전한 통합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의원 내각제로서 비오사 오스마니가 대통령으로, 알빈 쿠르티가 총리로서 2021년부터 재임 중이다. 경제는 극심한 분쟁으로 유럽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다. 주로 서비스 산업이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농업과 제조업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광물 자원이 있으며, 특히 석탄과 니켈, 아연 등이 있다. 이러한 자원은 경제 성장의 잠재력을 제공하지만, 개발과 관리가 필요하다. 외국인 투자 유치가 중요한 과제로, 정부는 여러 가지 개선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인프라 부족, 부패 문제 등으로 인해 투자 유치가 쉽지 않다. 젊은 층의 실업률이 매우 높아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소보는 유럽 연합과의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유럽 시장과의 연계를 강화하려 하고 있다. 1인당 소득 7,150달러 》 말씀묵상
에스더 9: 22-28 22. 이 달 이 날에 유다인들이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이 두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 하매23. 유다인이 자기들이 이미 시작한 대로 또한 모르드개가 보낸 글대로 계속하여 행하였으니 24.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의 대적 하만이 유다인을 진멸하기를 꾀하고 부르 곧 제비를 뽑아 그들을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 25.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감으로 말미암아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그의 머리에 돌려보내어 하만과 그의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 26. 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따라 이 두 날을 부림이라 하고 유다인이 이 글의 모든 말과 이 일에 보고 당한 것으로 말미암아 27. 뜻을 정하고 자기들과 자손과 자기들과 화합한 자들이 해마다 그 기록하고 정해 놓은 때 이 두 날을 이어서 지켜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하고 28. 각 지방, 각 읍, 각 집에서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 이 부림일을 유다인 중에서 폐하지 않게 하고 그들의 후손들이 계속해서 기념하게 하였더라
》 기도제목 1. 코소보의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 사이의 오래된 증오심으로 내전이 발생했고, 2008년의 코소보 독립 선언 이후에도 세르비아인들의 극렬한 시위가 계속되었다. 이 나라에서 기독교는 소수의 세르비아인 정교회로서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내전으로 수많은 교회가 파괴되었고, 이후 정교회 공동체에서도 정치적인 성향에 의해 큰 분쟁이 일어나 분열되었다. 이때 중동의 이슬람 포교자들이 많이 들어와 대부분 명목상 무슬림이었던 알바니아인들이 근본주의화 되어 폭력적인 일들이 증가하였다. 2. 외국 선교사들이 내전 이후 구호, 인도적 지원과 함께 많이 들어와 교회도 많이 생겼으나 몇몇 교회는 문을 닫았다. 선교 사역이 어렵지만, 어린이와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역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코소보 교회 지도자들은 성경의 진리와 신학적 소양이 부족하여 외국의 이단과 비성경적 사상에 영향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선교사들이 제자훈련과 지도력 개발을 더욱 감당해야 한다. 선교단체로는 OM, BMS 세계선교회, 기독교 선교사 연맹(CMA), 유럽 기독교 선교회(ECM), 형제회 등이 활동하고 있다. 3. 알바니아계 사람들은 거의 모두 무슬림으로 지난 5세기 동안 자기 나라를 점유한 세르비아인이 믿는 기독교를 싫어한다. 그 외 무슬림 소수 민족은 보스니아인, 터키인이 있다. 교회와 선교사들을 더 많이 일으켜주셔서 여러 무슬림 민족을 위해 기도하며 복음을 전하여 그들이 구원을 받도록 통로가 되도록 기도하자. |
댓글 0